구조만 알면
은행 정기예금상품은 뻔하다.
시간들일 필요 없는 일이다.
1. 추천방법
가까운 지역농협, 새마을 금고에 가서 (준)조합원 가입을 하고
세금우대를 받으며 정기 예금을 하는것이 좋다.
이유
1. 정부는 경쟁력이 낮은 2금융권을 위해 세금우대 혜택을 준다.
같은 지역에 있는 성인이 준조합원으로 가입하면 1,000만원까지는
세금이 1.4%로 줄어든다.
2.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2금융권 금리가 조금이나마 높은데
지역농협이나 새마을 금고는 5,000만원 원금 보장을 해준다.
3. 지역농협이나 새마을 금고는 지점이 엄청 많다 은행은 가까운게 장땡이다.
2. 선택에 시간들일 필요 없는 이유
현재 시중은행의 금리는 대부분 3%이하다.
1,000만원을 맡기면
일년에 30만원의 이자를 주고
세금(15.4%)을 뗀다.
내 손에 쥐는돈은 253,800원이다.
재테크 수단이라기엔 초라하기 그지 없다.
따라서 정기예금의 목적은 이자를 불리기 보다
원금을 위험없이 보관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사실 대부분의 정기예금 상품은 3%이하로 싹도 안나는 수준이다.
3. 은행 여러 곳을 다니며 금리 비교를 하는 것은 시간낭비다.
정기예금으로 단순화한 금리가 결정되는 구조
돈 떼일 확률이 높을수록 금리는 높아진다.
따라서 1금융권에 돈을 맡길 생각이라면 주거래 은행에 맡기고
나의 시간과 노력을 아끼는게 이득이다.
안전성이 비슷한 만큼 금리차이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반응형
'단순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백신과 언택트 주의 개인적인 전망 (0) | 2020.11.16 |
---|---|
Pay Pal - 비트코인, 페이팔에겐 호재! (0) | 2020.11.15 |
단순한 펀드 투자의 득과 실 (0) | 2020.11.15 |
단순한 비트코인의 가치 (0) | 2020.11.15 |
단순한 코로나, 주식 오르는 이유 (0) | 2020.11.15 |